영국, 정부의 디지털 서비스 설계 원칙

우리나라는 이제 막 공공데이터 개방이 시작된 상황이라 해외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많죠. 미국, 호주와 더불어 열린정부/정부2.0을 주도하는 영국은 정부차원의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원칙을 작성하여 실제로 적용 중이라고 합니다. 아직 이렇다할 정부차원의 가이드라인, 선언 등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참고하면 좋을 사례 같습니다....

[공공데이터 읽어주는 남과 여] 지도 : ②무더위 쉼터

뜨거운 날씨에 사람도 발전소도 더위를 먹어 모두가 힘들었던 올 여름. 각 지자체는 더위를 피해갈 수 있는 무더위 쉼터를 지정·설치했다. 서울시에만 약 3400여곳이 지정됐다. 언론에서 어디에 얼마나 설치돼 있는지,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보도하기도 했으나, 각 지자체가 무더위 쉼터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공공데이터 읽어주는 남과 여] 지도 : ①서울 어린이집

최근, 공공데이터와 인포그래픽이 이슈로 부상하면서 그 의미와 활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에 코드나무는 공공데이터를 이용해 새로운 이야기와 이슈를 전달하는 데이터저널리즘/인포그래픽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는 디자이너 1인과 기획자 1인 총 2명이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데이터 추출 등의 일부 작업은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았다....

공공데이터 법 1)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

[caption id="attachment_12008" align="aligncenter" width="500"] (cc by-sa) justgrimes[/caption]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공공데이터법, 대표발의 김을동 의원)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내년이면 본격적으로 국가데이터전략위원회가 가동이되고, 각 기관들이 공공데이터를 쏟아낼 것이다. 법안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고, 앞으로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1. 공개 원칙...

공공데이터 공개, 어디까지 왔니? - 공간정보데이터

[caption id="attachment_11994" align="aligncenter" width="500"] (cc by-nd) Jae-HoonKim[/caption] 공공데이터 렛츠와 캠프 등을 통해 공공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요구와 활용 사례를 접하다보면 서로 다른 분들께서 비슷한 얘기를 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정부가 갖고 있는 공간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찾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사실 우리나라는 최근까지...